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성장혼합모형=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전통적인 잠재성장모형의 경우 전제 집단을 대표하는 성장분석에 초점을 두고,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 또한 각 개인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가정하는 반면,
성장혼합모형은
-
특정 모집단에 존재하는 비관측 이질성을 추적하는 것으로, 종단적 성장 연구에서는 비슷한 성장궤적을 갖는 의미있는 잠재집단을 찾는 것(신택수, 2010).
-
시간에 따른 종속변수의 변화 양상에 있어서 이질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잠재계층을 찾아내고 이들 집단과 관련 있는 특성 변수를 분석함으로써 잠재집단의 특성과 집단 간 차이를 찾아내는데 유용(최인희, 2019)
-
다집단성장모형(multiple-group growth mode)의 확장된 형태로, 관찰불가능한 집단의 변화 궤적을 추적(김미림 외, 2019)
각 잠재집단별로 다른 성장요인 모수를 추정할 수 있으며, 성장모수 간의 관계도 집단별로 달리 추정할 수 있음.
분석 시,
1) 종속변수의 종단적 측정동등성 검증
2) 변화궤적 형태 추정(무변화모형, 선형모형, 비선형모형)
3) 잠재계층 수 결정
4) 통제변수 투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실시
*성장혼합모형 활용 논문(예)
김미림 외(2019).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 변화 유형과 특성분석
최인희(2019).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진로성숙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후기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
백승희 외(2018). 분할함수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적 변화 추정
이정민, 정혜원(2017).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초기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조아미, 신택수(2012).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활동 참여 수준의 유형과 특성 분석
*성장혼합모형 소개
신택수(2010).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성장혼합모형과 비교를 통하여
Muthen(2004). Growth Mixture Modeling and Related Techniques for Longitudinal Data.
Muthen & Asparouhov (2007). Growth mixture modeling: Analysis with non-Gaussian random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