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주의 (perfectionism)
완벽주의란? (장지현, 이정화 2018; 이현정 외, 2019 재인용)
-자신이나 타인에게 상황에 필요한 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의 수행을 하려고 하는 성향(Hollender, 1965)
-일종의 정신병리적 증상으로, 도달하기 어려운 높은 기대수준을 가지고 불가능한 목표를 향해 강박적으로 끊임없이 애쓰며 남보다 탁월해야한다는 욕구로 인해 쉽게 자기 패배감에 빠지는 사람(Pacht, 1984)
-결점이 없는 상태를 추구하는 것으로 일생에 걸친 고통을 예측하는 강력한 독립변인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
-부정적응적 특성의 단일차원적 개념에서 적응적인 면과 부적응적인 면을 모두 포함한 다차원적 개념으로 전환
(적응적인 면: 스스로의 기대에 부합하기 위해 높은 수행수준을 보이거나 성취동기를 부여하는 것 등)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 (이현정 외, 2019 재인용)
연구자 | 구성개념 |
Frost et al (1990) |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Fros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FMPS) -개인적 기준(7): 스스로 높은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 -실수에 대한 염려(9): 실수나 실패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고 두려움과 부정적인 생각 -수행에 대한 의심(4): 자신의 수행수준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심하는 경향 -조직화(6): 정확성과 질서, 정리 등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경향 -부모의 기대(5): 부모가 너무 높은 기준을 가지고 그 기준에 도달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지각 -부모의 비난(4): 부모가 기대하는 기준에 도달하지 못헤 부모에게 비난받고 있다고 지각 |
Hewitt & Flett (1991) |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ewit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자기지향 완벽주의(15): 자신에게 완벽주의적인 기준을 세우고 자신이 완벽해야한다는 강한 동기 및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대와 엄격한 자기평가 등이 포함 -타인지향 완벽주의(15): 중요한 타인에게 완벽주의적인 기대를 하고, 타인의 수행에 대해 엄격하게 평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15): 중요한 타인에 의해 부과된 기준과 기대를 충족시켜야만 한다고 보며, 타인이 비현실적인 기준으로 자신을 평가한다는 믿음이나 지각이 수반됨 |
Slaney et al (1995) |
*완벽주의 측정도구(Almost perfect scale: APS): 기준/질서, 관계의 어려움, 꾸물거림, 불안 *APS-R: 높은 기준, 질서(긍정적 완벽주의), 불일치(부정적 완벽주의) |
완벽주의 개념의 재구성
-Dunkley et al(2000)은 FMPS, HMPS의 요인을 재구성
FMPS (Frost et al, 1990) | HMPS (Hewitt & Flett, 1991) | Dunkely et al (2000) |
개인적 기준 | 자기지향 완벽주의 |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개인기준 완벽주의(적응적 양상) |
실수에 대한 염려, 수행에 대한 의심 |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평가염려 완벽주의(부적응적 양상) |
완벽주의의 연구 경향
1) 완벽주의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
가. 우울, 강박, 불안 등의 심리 정서적 문제
나. 학업지연행동 등 수행 관련 문제
다. 대처행동, 효능감, 사회적 지지 등의 매개 또는 조절효과
2014. 감각추구, 실패공포, 완벽주의와 대학생의 만성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임성문)
2016.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도움요청의 조절효과 검증: 중학생을 중심으로(명혜원 외)
2018.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고통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장지현, 이정화)
2) 완벽주의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2017. 완벽주의와 지연행동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Hewitt과 Flet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를 중심으로(김경령, 서은희)
2018. 완벽주의와 학업지연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전경남, 이정민)
2019.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메타분석 (이현정 외)
참고논문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470. doi:10.1037//0022- 3514.60.3.456
Frost, R. O., Marten, P. A.,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doi: 10.1007/ bf01172967
Dunkley, D. M., & Blankstein, K. R. Halsall, J., Williams, M., & Winkworth, G. (2000).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distress: Hassles, cop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and modera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4), 437-453. doi:10.1037//0022-0167.47.4.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