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Technoference (기술간섭) & 스마트폰 중독

리터러씨 2020. 5. 15. 18:35

Technology devices are widely used today,  creating opportunities to connect and communicate with distant others 

while also potentially disrupting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those who are physically present  (i.e., technoference or phubbing).  (McDaniel et al, 2018). 

Technology devices는 멀리 있는 사람들과 연결해주거나 의사소통할 기회를 만들어줌.  

반면 잠재적으로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을 간섭하기도 함(technoference, phubbing). 

 

  "Phubbing(phone+snubbing),

the act of ignoring someone you are with and giving attention to your mobile phone instead

 

https://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english/phubbing (인출일: 2020.05.15)

 

"Technoference

has been defined as interruptions to social interactions because of technology.

(Stockdale et al, 2018:219)"

 

 

○  기술관섭~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 관계 연구 

 

 - (McDaniel et al, 2018).  we examined the role of technoference in couple and coparenting relationship quality and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utilizing dyadic data. We found that greater technoference related to greater conflict over technology use, and greater conflict predicted low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poorer perceptions of coparenting quality (Study 1). Using a more diverse sample (Study 2), we again found support for the main pathways tested in our first study, suggesting that results found in Study 1 and in previous work are not artifacts of sampling. As satisfaction, support, and agreement among relationship partners and parents are often critical to relationship health and family cohesion, it is important for couples and families to evaluate, monitor, and be willing to adapt their technology usage patterns so that these patterns do not cause conflict and possibly relationship deterioration over time.

 

- (Stockdale et al, 2018).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dolescentsperceptions of their own and their parents technoference on adolescent positive and negative behaviors, including anxiety, depression, cyberbullying, prosocial behavior, and civic engagement, as mediated through adolescent perceptions of parental warmth. Te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technoference was related to increased anxiety, depression, cyberbullying, and prosocial behaviors, as mediated through parental warmth. Interestingly, adolescent technoference was not related to perceived parental warmth, but was related to increased cyberbullying, anxiety, depression, and decreased prosocial behavior and civic engagement

 

 -(Xie & Xie, 2020)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connections between parental phubbing and depression in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s of parental warmth, parental rejection, and 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Two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were found. The first was parental phubbing parental warmth 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depression (protection-reduced effect). The second was parental phubbing parental rejection 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depression (risk-increased effect). Gender differences were non-significant. The present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establish family norms regulating mobile phone use to reduce phubbing.

 

 

○  세계일보(2018.09.14) "스마트폰 그만하고 나랑 놀아줘!" 부모에 사이다 일침 날린 아이들 

 

   -2018년 9월 8일(현지시각) 독일 함부르크에서 아이들과 부모 약 150명이 길거리로 나와 시위를 벌임. 
    이 시위의 주체는 7살 에밀. 에밀은 아빠가 스마트폰이 아닌 자신에게 더욱 관심을 기울이길 원함. 이를 엄마에게 이야기했으며, 친구들도 에밀과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는 걸을 알고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을 반대하는 거리 행진을 하기로 함. 

 

  ※기사출처: https://www.segye.com/newsView/20180914001295

 

"스마트폰 그만하고 나랑 놀아줘!" 부모에 사이다 일침 날린 아이들 (영상) - 세계일보

에밀과 그의 부모가 페이스북을 통헤 시위 참가자를 모집하며 올린 포스터와 사진. 페이스북"아빠, 스마트폰 그만하고 나랑 놀아!" 7세 아이가 거리 행진에 나...

www.segye.com

※영상출처: youtu.be/DLaAmfrmmdEyoutu.be/P_L9OeEuMJw

 

 

○ 조성미(2019). 우리 아이가 디지털 기기에 빠져 있는 이유

 

 -진보된 기술과 새로운 정보들은 더 많은 편리함과 기회를 제공하지만, 스마트폰으로 인한 수면장애, 생산성 저하, 대인관계 방해 등의 기술간섭현상(technoference)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음.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매년 실시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과의존위험군 증가 추세이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청소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스마트폰 과의존

스마트폰에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는,  즉 스마트폰에 대한 애착이 강함. 자기자신과 스마트폰을 동일시하기도 

 

 -스마트폰 과의존 원인으로  ①스마트폰 기기 및 콘텐츠 특성(게임 등 자극적인 재미), ②청소년 개인의 심리 정서 특성(부정적 정서를 달래거나 회피하기 위한 스마트폰 콘텐츠 사용 등), ③가정환경(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부재 등), ④사회문화(다른 놀이문화 부재, 시간 부재)로 분류할 수 있음. 

 

 

○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List.do?cbIdx=65914

 

스마트폰 과의존이란: 

 1)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에서 가장 우선되는 중요 활동이 되고(현저성, salience),

 2) 스마트폰 이용 정도를 스스로 조절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조절 실패, self-control failure)

 3) 주변 사람과 갈등, 신체적 불편, 가정/학교/직장 생활 등에 어려움 (문제적 결과, Serious consequences) 에 있는 상태를 말함. 

구분 조사개요
조사목적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및 해소 정책의 성과평가와 효과적인 정책 수립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 정책통계 생산
조사대상 전국 (17개 광역시도) 만 3세~69세 스마트폰(인터넷) 이용자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이용)
조사시기 19년 8~10월 , 가구방문면접조사(총 10,000가구/ 28,592명) 
조사항목 대문항 기준 40문항(스마트폰 이용현황, 과의존 문제 및 정책에 대한 인식, 심리사회적 특성, 대상별 조사)

-주요결과 

과의존 위험군은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를 활용, 대상별 기준점수(cutoff point)에 따라 고위험군, 잠재적 위험군, 일반사용자군 유형 분류

 

 

[출처 & 참고문헌] 

1) https://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english/phubbing (인출일: 2020.05.15)

2) 세계일보(2018.09.14) "스마트폰 그만하고 나랑 놀아줘!" 부모에 사이다 일침 날린 아이들 . https://www.segye.com/newsView/20180914001295 (인출일, 2020.05.15)

3) youtu.be/DLaAmfrmmdEyoutu.be/P_L9OeEuMJw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List.do?cbIdx=65914

5) McDaniel, B., Galovan, A. D., & Vravens, J. D. & Drouin, M. (2018). “Technoference” and implications for mothers' and fathers' couple and coparenting relationship qual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0, 303-313.  doi.org/10.1016/j.chb.2017.11.019

6) Xie, X. & Xie, J. (2020). Parental phubbing accelerates depression in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A two-path model. Journal of Adolescence, 78, 43-52.  doi.org/10.1016/j.adolescence.2019.12.004

7) Stockdale, L. A., Coyne, S. M. & Padilla-Walker, L. M. (2018). Parent and Child Technoference and socioemotional behavioral outcome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tudy of 10- to 20-year-Old adolesc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8, 219-226.  doi.org/10.1016/j.chb.2018.06.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