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OECD 교육 2030 참여연구: 미래지향적 역량교육의 실행 전략 탐색

리터러씨 2020. 5. 18. 18:52
출처: 최수진, 김은영, 김혜진, 박균열, 박상완, 이상은, 장암미(2019). OECD 교육 2030 참여연구: 미래지향적 역량교육의 실행 전략 탐색.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9-06. 

 

 목 적  

º 한국교육개발원은 "OECD 교육 2030: 미래 교육과 역량(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OECD Education 2030) 사업의 국가 주관기관으로서 미래 교육혁신에 대한 국제적 논의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 기획

º 역량을 새로운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설계하려는 시도가 활발하지만(2015 개정교육과정,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 등), 실제 역량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이해가 부족한 상황.

º OECD 교육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 실행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분석틀로 하여 해외 및 국내 역량교육 실행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지향적 역량교육 실행 전략 도출 

 

"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OECD Education 2030 ; OECD 교육 2030: 미래 교육과 역량

미래 사회 요구되는 핵심적인 역량을 규명하고,
이러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체제를 탐색하기 위해 OECD에서 실시하는 사업

"

 

 

ºOECD 학습개념틀 2030 (ver16)  :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보고서의  49~73쪽 참조

-OECD에서는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역량교육이 다소 이론적이고 추상적이라는 한계가 있어 학교 현장에서의 실행을 염두에 두고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접근을 하고자 하였으며,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고 미래 교육의 폭넓은 비전을 제공하고자 새로운 역량교육의 틀을 제시함. 

 

 (1) 교육이 지향하는 가치: 개인과 사회의 웰빙, 학생 행위주체성 

 (2) 변혁적 역량과 학생 행위주체성을 중앙에 위치시킨 역량 개발 싸이클

   -변혁적 역량: 새로운 가치 창출하기, 긴장과 딜레마 조정하기, 책임감 갖기

   -핵심기초: 문해력, 수리력, 데이터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개발싸이클: 예측(anticipation)- 행동(action)- 성찰(reflection)

   -학생 행위주체성(student agency): 학습개념틀 중심에 학생의 행위주체성을 두고 있음

   -협력적 행위주체성(co-agency) : 교사, 학부모, 또래, 지역사회, 교육 주체들의 협력적 행위 주체성의 중요성 

 (3)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로 구성된 역량 범주 

※ 출처: OECD 교육 2030 홈페이지, 2019a; 최수진 외(2019: 20)에서 재인용

 

ºOECD 학습 나침반 2030 (OECD Learning Comapss 2030) 

 

출처: OECD 교육 2030 홈페이지(2019b). 한글 번역본은 황은희 외(2019)와 동시 수록됨.

 

º혁신적 교육과정 실행에서 구성원의 역할과 상호작용  :  학생 행위주체성, 협력적 행위주체성 

행위주체성이란, 행위자가 순간적으로 구성된 다른 사회적 호나경들(시간적, 관계적 행동의 맥락)에 참여하는 것으로, 이는 습관, 상상과 판단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하는 역사적 사황들이 제기하는 문제들에 대한 상호 대응 속에서 그 구조들을 재생산하기도 하고 변화시키기도 하는 것것(Emirbayer & Mische, 1998, 이성회, 2017: 14에서 재인용)

 

교사의 행위주체성 개념모형(출처: Priestly, Biesta & Robinson, 2015: 30;이성회(2017: 14)에서 재인용

 

º역량교육 실행에 대한 사례 조사 

 

해외 홍콩, 호주,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싱가포르
국내 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2개교

 

 

[더 읽기] 

1) 김은영(2018). OECD 교육 2030: 미래교육과 역량. 서울교육, 231호. http://webzine-serii.re.kr/oecd-%EA%B5%90%EC%9C%A1-20301-%EB%AF%B8%EB%9E%98-%EA%B5%90%EC%9C%A1%EA%B3%BC-%EC%97%AD%EB%9F%89/

 

OECD 교육 2030 : 미래 교육과 역량

김은영 한국교육개발원 국제협력실 실장   들어가는 말 현재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에게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이 문제는 교육내용과 교수방법 등을 고민하고 학생들을 교육하��

webzine-serii.re.kr

2) 최수진·이재덕·김은영·김혜진·백남진·김정민(2017). OECD 교육 2030 참여연구: 역량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선행연구분석(역량 및 역량 개념틀,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체제 등) 

     -OECD 교육 2030 사업 진행 사항 분석 

     -OECD 교육 2030 역량 개념틀의 국내 타당성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역량기반 교육의 국내 실행 모습 

 

3) 이상은, 김은영, 김소아, 유예림, 최수진, 소경희, 신연재 (2018).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 .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2018-08.  

    -이론적배경(21세기 학교교육 개혁을 위한 역량 교육정책 동향과 실행 모형 ,  국내 역량 교육정책의 전반적 구조, 현황과 쟁점,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관련 연구 동향 및 본 연구의 차별성)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도입 맥락 및 진행과정

    -OECD 교육 2030에서 새롭게 규명된‘역량’교육의 의미와 설계 방향

    -OECD 교육 2030에 비추어 본 국내 역량 교육 정책의 적용 실태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나타난 쟁점을 중심으로 

    -현행 국내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4) 김은영, 김혜진, 장혜승, 한효정, 최원석, 김종윤, 최재은(2019). OECD 교육 2030과 한국 교육.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기술보고TR2019-62. 

    -Ⅱ. OECD 국가교육심층분석 절차

    -Ⅲ. 국가배경보고서 
    -Ⅳ. 제 1차 한국 방문: Fact-Finding Visit을 통한 조사 결과 
    -Ⅴ. 제 2차 한국 방문: Policy Visit을 통한 조사 결과

    -Ⅵ. 프로젝트의 한계와 수행과정에서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