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읽기 소양과 삶의 만족도 영향 변인 탐색
출처: 정혜원, 박소영, 김정인, 김아람(2021). 청소년기의 읽기 소양과 삶의 만족도인 영향변인 탐색: PISA 2018 한국 핀란드 국제 비교. 교육과정평가연구, 24(1), 123-152.
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500201&boardSeq=5062784&lev=0&m=030202&searchType=S&statusYN=W&page=1&s=kice
<요약>
-목적: 한국과 핀란드 청소년의 읽기 소양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비교
-자료: PISA 2018
-방법: 랜덤포레스트를 적용하여 한국와 핀란드 청소년의 읽기 소양과 삶의 만족도 주요 변인 도출 후
다층모형 적용하여 랜덤포레스트에서 도출된 주요 변인 검증
"학업성취"
-개인의 성장과 인지적 발달 양상 분석, 학교교육 성과 점검, 국가 간 교육과정 및 평가 정책 비교를 위한 자료로 활용
-PISA에서는 읽기, 수학, 과학 소양으로 측정
특히 읽기 소양은 학습 내용 이해 및 활용을 위한 주요 도구로 사용,
다른 영역 성취를 위한 기초이자 대부분의 삶의 영역에서 성공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중요
"삶의 만족도"
-학교교육을 통해 발달 및 성장시켜야하는 정의적 발달 중 하나
-높은 학업성취도에 비해 OECD 평균보다 낮은 최하위권
이슈
-한국 청소년의 인지적 역량과 정의적 역량 수준의 불일치 양상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인지적 역량과 정의적 역량 간의 균형있는 발전 방안 논의 필요
-국제 수준의 자료를 활용하여 읽기 소양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함께 살펴본 국내 연구는 미비
-기존 PISA 자료 활용한 연구에서는 모수통계 기반의 전통적 연구방법 활용이 다수이며, 일부 변인만 제한적으로 사용
연구목적
-한국청소년의 인지적 영역(읽기 소양)과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두 영역의 균형잡힌 교육 실현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 모색 필요
-인지적 및 정의적 역량 수준이 일치된 양상을 보이는 핀란드와 비교분석
-PISA 2018자료에 포함된 다양한 변인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비모수적 통계 기반의 머신러닝 기법(랜덤포레스트) 적용
-랜덤포레스트 분석에서 도출된 주요 변인의 영향을 다층모형을 통해 검증
서론 | |
선행연구 고찰 | 1. 한국과 핀란드 PISA 주요 결과 및 특징 2. 읽기 소양 영향 변인 3. 삶의 만족도 영향 변인 |
연구방법 | 1. 연구대상(PISA 2018 참여국가 중 한국 188개교 6,650명, 핀란드 212개교 5,649명) 2. 측정도구 -종속변인: 읽기소양 10개의 유의측정값, 삶의만족도 1문항(11점척도) -독립변인: 학생변인 169문항(학생배경, 학생과정, 학습관련, 학교참여관련, ICT관련), 학교변인 93문항(학교여건, 학교풍토) 3. 연구방법(랜덤포레스트=randomForest in R, 다층모형=HLM 8.0, SENWT 가중치 적용) |
연구결과 | 1. 랜덤포레스트 분석결과(랜덤포레스트에서 선택된 주요 변인) 2. 다층모형 분석결과 |
결론 | 1. 학습기회-텍스트 길이, 다양한 읽기자료활동, 독서여부, 취미읽기 시간, 주당 총 학습시간은 읽기 소양에 영향 2. 학교에서의 학습에 대한 태도, 학교에서 학생들의 협동에 대한 인식과 정적, 부모의 정서적 지지, ICT관련 변인, 부정적 정서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 |
제한점 | 1. 랜덤포레스트에서는 주요 변인으로 도출되었으나 다층모형에서 다른 독립변인의 효과를 통제 한 후에 일부 독립변인에서 유의하지 않거나 독립변인 계소 추정치의 부호가 상관계수 값의 부호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우 발생하여 다층모형에서 다수의 독립변인이 투입될 경우 독립변인 간의 상관으로 인해 정확한 계수 추정에 어려움이 있음을 의미 2. 랜덤포레스트에서 도출된 주요 변인을 다층모형에 독립변인으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삶의 만족도는 모두 학생변인만 포함, 읽기 소양에는 1개의 학교변인만 포함. 한국 읽기 소양의 ICC가 높았던 점을 감안하면 학교 간 분산을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학교 변인이 도출되지 않았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