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조사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 https://www.kpf.or.kr/front/mediaStats/mediaStatsDetail.do

■ 조사개요 

 

구분 내용
개요 태생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테크놀로지에 이숙한 이른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인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6년 시작된 조사로, 10대 대상의 미디어 이용조사 중 국내 최초로 과학적 표집 방법을 사용한 전국 규모 조사 
목적 향후 뉴스 미디어의 핵심이용자가 될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조사/분석하여 미디어 산업의 장기적인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한편, 청소년의 시민 역량을 강화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음. 
조사내용 매체별/플랫폼별 중요도, 인터넷 이용 행태, 인터넷포털 이용 행태,  매체별 이용 행태, 텔레비전 이용 행태, 종이신문 이용 행태, 라디오 이용 행태, 잡지 이용 행태, 뉴스 이용 행태, 뉴스분야별 관심정도 및 이용방식, 사회참여, 직업군 평가, 감정상태
모집단 전국 10대 (만10~18세) 청소년 (2018년도 교육통계의 초/중/고 학생현황 기준)
표본크기 약 2,363명 (남자 52.0%, 여자 48.0% / 초 32.3%, 중 31.6%, 고 36.2%)
조사방법 태블릿PC를 이용한 대면면접조사(TAPI)
조사일시 2019.06.19~2019.07.19

 

■ 주요 조사결과 

 

  모바일 퍼스트에서 모바일 온리로     

-일상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매체는 스마트폰 ,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 97.2%

-포털 및 검색엔젠, 메신저 서비스,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SNS는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환경 

 

  텔레비전은 가족과 함께, 그리고 다른 매체와도 함께    

-가족과 함께 TV를 시청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 82.2% → 가족 매체로서의 텔레비전 위상은 여전히 유지

-TV의 매일 이용한다=19.6%, 일상에서 중요한 매체다=34.5% → 일상 매체로서의 텔레비전 위상은 상당히 저하

-TV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다른 매체를 매번 또는 자주 이용한 적 있다는 응답이 42.0%

-TV를 시청하는 경로의 다양화 

 

  디지털 플랫폼 레퍼토리, 집중과 분산   

-이용여부: 포털(98.8%),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87.4%), 메신저 서비스(86.6%), SNS(64.7%), 1인방송시청(36.7%)

-네이버 이용 90.3%, 유튜브 이용 98.1%, 카카오톡 이용 92.5% → 서비스별 응답자 대부분이 이용하는 강력한 플랫폼 존재 

 

조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조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