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최윤정, 김성회(2008). 초등학교 고학년용 학업적 꾸물거림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9(1), 201-221
academic procrastination 학업지연 /학업적 꾸물거림 /지연행동 /미룸 / 만성적, 습관적 지연
*꾸물거림의 영향
- 학업에 부정적 영향 (Rothblum, Solomon, & Murakami, 1986)
- 마감일이 임박해짐에 따라 숙제 제출 비율 증가(Howell, Watson, Powell, & Buro, 2006)
*꾸물거림에 대항할 수 있는 힘
높은 자아존중감, 보다 강한 동기, 보다 나은 의사결정 기술
*꾸물거림의 정의
-Schouwenburg(2004) 연기는 의도적, 계획적, 현명할 수도 있음. 의도적으로 계획되지 않은 연기를 '지연행동'으로 정의
-지연, 연기, 미루기는 '의도성'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구별 필요(Steel, 2002)
*꾸물거림의 유형
발생장면 | 보는 관점 |
학업적 꾸물거림 일반적 꾸물거림 |
행동적 꾸물거림 안정적 꾸물거림 |
*꾸물거림 관련 변인
완벽주의, 실패공포, 성격 5요인, 충동성, 자기조절학습, 자기효능감 등
*기존 꾸물거림 척도
- 의사결정관련 꾸물거림 척도(Mann, 1982; Mann, Burnett, Radford, & Ford, 1997)
- 학업관련 꾸물거림 척도(Solomon & Rothblum, 1984; Aitken, 1982; Tuckman, 1991; Schouwenburg, 1995; Steel, 2002; Lay, Kovacs, & Danto, 1998; 김현정, 2003; 박미, 2006)
*최윤정, 김성회(2008)의 꾸물거림 척도
구분 | 문항 수 | 문항 예시 |
행동적 요인 | 12 |
공부를 시작하려다가 조금만 더 있다 해야지하면서 미룬다 |
인지적 요인 | 13 |
일찍 시험공부를 해두면 다 잊어먹는다고 생각한다 수제를 하나 안하나 나에게 달라질 게 없다고 생각한다 |
정서적 요인 | 8 |
성적이 잘 나오지 않을까 계속 걱정한다 과제를 미루고 나서 후회한다 마감일에 맞추어 과제를 못했을 때 우울해 진다 |
'arti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수를 연결하는 통계적 조절 방법 (0) | 2020.01.12 |
---|---|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educational aims and contexts for formative assessment (0) | 2019.12.29 |
자기조절학습 단계 및 영역(Pintrich, 2000) (0) | 2019.11.07 |
협력적 자기조절(co-regulation) (0) | 2019.11.07 |
피드백행동에서 문화적 차이의 영향 (0) | 2019.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