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경로분석: 메타분석방법과 구조방정식 방법을 결합한 분석
1) 홍세희 외(2020). 청소년 회복탄력성에 대한 메타경로분석. 청소년문화포험, 63, 109-134.
본 연구는 청소년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종합하기 위해 메타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을 선정하여 국내에서 출판된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변수들이 어떤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보호요인인 부모지지, 교사지지,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회복탄력성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를 종합하는 메타분석과 구조방정식에 기반을 두는 경로분석을 통합한 메타경로분석을 통해 총체적인 관점에서 회복탄력성을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2) 박병선, 배성우(2016).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청소년 비행의 일반긴장이론 검증. 보건사회연구, 36(3), 270-302.
본 연구는 메타경로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는 일반긴장이론을 통합적이고 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세 단계를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일반긴장이론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변인으로 사회경제적 수준, 학 교폭력피해, 부모학대, 스트레스, 우울, 비행을 추출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바탕으 로 이론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둘째, 국내에서 실시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자료 등을 총망라하여 수집한 후, 설정된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인들의 상관계수를 바탕 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216편의 논문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으며 주요 변인간 의 관계에 대한 상관계수를 추출한 결과, 총 584개의 상관계수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셋째, 메타분석을 통해 도출한 각 변인들간의 평균상관계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에 대 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수용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우울 및 비행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폭력피해가 높을수록 우울과 비행이 높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학대를 많이 경험할수록 스트레스와 우울, 비행이 모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행과 사회경제적 수준, 학교폭력피해, 부모학 대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하였다.
3) 진혜민, 배성우(2016). 청소년 자살생각에 관한 메타경로분석-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8(2), 85-113.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스트레스요인(학대경험, 친구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이 결과요인인 우울과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청소년 자살생각과 관련된 주제의 433개 연구물을 메타분석하였으며, 메타분석된 상관행렬을 경로분석에 적용하여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대경험, 친구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학대경험, 사회적지지, 우울은 자살생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 우울을 통해 자살생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학업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 우울을 통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대경험, 친구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의 스트레스요인이 결과요인인 우울 및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에서 주요한 심리사회적 자원인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함의를 논의하였다.
4) Cheung, M. W.-L. (2015b). metaSEM: An R package for meta-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rontiers in Psychology, 5, 1521. mikewlcheung.github.io/research.html
5) 이현정 외(2018). SEM 기반 메타분석의 이론 및 적용 -Cheung의 접근법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7(1), 127-152.
구조방정식모형과 메타분석은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행동과학을 비롯한 모든 영역에서 활발히 적용하고 있는 방법론이다. 최근까지 두 방법론은 각자의 방식대로 발전해왔으며, 각각 서로 다른 연구에 적용되어 왔다. 즉, 구조방정식모형은 연구자가 제안한 연구모형의 검증에 활용되었고 메타분석은 단일 주제 연구들을 통합하는 데 적용되었다. 그러나 메타분석은 구조방정식의 프레임웤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기존의 방식보다 더 많은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메타분석 방법론을 소개하고 이를 실증연구에 적용하여 분석한 예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최근 Cheung(2008, 2015)이 제시한 SEM 기반 메타분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국내에서 구조방정식 분석 프로그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plus를 활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SEM 기반 메타분석의 장점을 기존의 메타분석과 대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전통적인 메타분석 모형(고정효과, 임의효과, 혼합효과)에 대해 SEM에 기반한 접근법으로 모형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분석 방법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한 예시로서, 학업지연행동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의 효과크기를 통합하고 조절변수로서 연구특성 변인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stat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한 번에 소수점 변경하고 괄호 안에 넣기 (0) | 2021.01.06 |
---|---|
통계 비디오 (statquest) (0) | 2020.06.11 |
중요도-실행도 분석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0) | 2020.05.19 |
잠재평균분석 (latent means analysis) (0) | 2020.05.15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0) | 202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