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atistics

요구도분석

조사는 분석항목(교사의 직무역량,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 등)에 대하여 

①현재수준 - 중요수준 ,②현재수준 - 필요수준으로 조사 실시 

 

(예시) Q.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다음 역량에 대하여 현재 수준과 필요수준에 대하여.... 

  현재수준 필요수준
매우낮다   낮다   보통   높다   매우높다 전혀필요없음    필요없음    보통    필요    매우필요
1) 의사소통역량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    
13) 비판적 사고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13개의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을 조사한 것으로 가정함> 


*대응표본 t검정 

 

  -현재수준(사전)과 필요수준(사후)에 대하여 대응표본 t검정 실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유의확률이 유의하면(p<.05)하면 요구가 있는 것으로 봄 

  -다양한 통계패키지 이용(SPSS 등) 

  -결과보고 (예시) 

 

  현재수준 필요수준
t 유의
확률


사례수 평균 표준
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1) 의사소통역량                
...                
13) 비판적 사고                

 

*Borich 요구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보완

 -Borich(1980)에서 교육 프로그램의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간의 차이 분석을 통한 교육요구도 도출을 위해 제안

 -Borich 요구도는 아래 공식으로 산출되며, 산출된 값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함. 

 -절차: 항목별로 요구도 산출 후 요구도가 높은 항목에서 낮은 항목 순으로 순위를 매김 

 

Borich 요구도

  -즉, 요구도 수치가 높을수록 순위가 높으며, 요구도 수치가 낮을수록 순위가 낮음 

  -예시

 

  현재수준(평균) 필요수준(평균) 요구도 우선순위
1) 의사소통역량 3.71 4.33 2.68 13
2) 글로벌역량 3.50 4.50 4.50 1
...        
13) 비판적 사고 4.00 4.70 3.29 5

 

*The Locus for Focus

 

 -Borich 요구도를 보완+우선순위를 좌표평면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 

 -좌표평면의 '가로축(x축)=중요도', '세로축(y축)=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

 -가로축의 기준은 13개 역량의 중요도 평균값,

 -세로축의 기준은 13개 역량의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값의 평균값

 -좌표평면의 사사분면 중에서 제1사분면에 위치하는 항목이 요구도가 있는 것으로 해석

 

2사분면

필요수준 낮음

[필요수준-현재수준] 높음

1사분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음)

필요수준 높음

[필요수준-현재수준] 높음

3사분면 (=우선순위가 가장 낮음)

필요수준 낮음

[필요수준-현재수준] 낮음

4사분면

필요수준 높음

[필요수준-현재수준] 낮음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