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icle

자기조절전략 효능감의 조절자로서 외향성

Vaughan-Johnston, T. I., MacGregor, K. E., Fabrigar, L. R., Evraire, L. E., & Wasylkiw, L. (2020). Extraversion as a Moderator of the Efficacy of Self-Esteem Maintenance Strateg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https://doi.org/10.1177/0146167220921713

 

[Abstract] 

Four experiments explored how extraversion’s connection with self-esteem may depend on specific self-enhancement strategies. Participants’ self-esteem threatening feedback indicating that they had performed poorly on a vocabulary or emotional intelligence test.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N = 80)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control condition (no self-enhancement) or a downward social comparison condition. The procedures for Experiments 2 (N = 470) and 3 (N = 514) were similar, adding a self-serving attribution condition (Experiments 2 and 3) and Basking-in-Reflected-Glory (BIRG) condition (Experiment 3). Across the experiments, extraversion was more related to self-esteem under downward social comparison versus other conditions. BIRGing produced higher self-esteem in Experiment 3 across extraversion levels. Experiment 4 (N = 355) focused on downward social comparison versus control, and provided evidence that an increased perception of being similar to the comparison targets may partially explain extraversion’s self-esteem link. Theoretical implications concerning both extraversion and self-enhancement are discussed.

 

4가지 실험을 통해 외향성과 자존감의 관계가 구체적인 자기고양전략에 어떻게 의존하는지 탐구함. 

참여자의 자존감 위협 피드백은 그들이 어휘 또는 정서적 지능 검사에서 보인 낮은 수행력을 말함. 

(실험1=80명) 통제집단(=자기고양없음) vs 실험집단(하향 사회적 비교 조건) 무작위 할당 

(실험2=470명) self-serving attribution 조건 추가

(실험3=514명) Basking-in-Reflected-Glory (BIRG) 조건 추가 

(실험4=355명) 하향 사회적 비교(와 통제에 중점을 둠. 

실험 전반적으로 외향성은 하향 사회적 비교 상황에서 자존감과 더욱 관련이 있었음.  

실험3에서 BIRG는 더 높은 자존감을 보임 

실험4에서 비교대상과 유사하다는 인식의 증가는 외향성과 자존감 관계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 

 

 

*Basking-in-Reflected-Glory 후광반사효과 (반사된 영광 누리기 효과)

  -다른 사람이 이룩한 우월한 성과를 통해 자신의 자존감을 햐상시키는 현상

  -후광반사효과 발생 요인: 자기평가유지모형 (Tesser, 1988)

     ①사회적 비교대상인 두사람의 관계 긴밀성(유사성, 친밀성),

     ②비교사안에 대한 주관적 의미(비교사안의 중요성) 

  -집단에서의 발생 가능성: 중요하지 않은 사안에서 타집단이 우월할 때 우월 집단에 대한 협조의향 증가 가능하며, 심지어 상대와 자신을 엮어 그의 영광을 자신에게 반영하려 함(노혜경, 2014).

구분 중요한 사안 중요하지 않은 사안
타집단 우월할 때 내집단 자존감 낮아짐,
타집단 부정적으로 평가
내집단 자존감과 관계없음 
타집단의 성공을 높이 평가

 

*상향비교와 하향비교

  -하향비교 downward social comparison 

  -상향비교 upward social comparison

 

*자기평가유지모형(self-evaluation maintenance model) (Tesser, 1988) 

  -사람들은 현재 자신이 지니고 있는 자존감, 긍정적인 자기평가를 유지하려는 동기를 갖고 있으며, 긍정적 유지과정은 비교과정(comparison process)과 반영과정(reflection process)으로 나뉨. 

 

 

 

[참고] 

노혜경(2014)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port.html?actionUrl=search%2FchildListExpressionInner&selectedGroup=&collsGroup=&m201_id=10038701&indexForSearch=&executeQuery=&listPerPage=4&searchDiv=SYS&dataTypeCd=¤tGroup=&selectedColls=&sortType=&dbGubun=SD&metaDataId=&m310_arti_id=&local_id=10060733&category=Report  (인출일: 2020.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