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icle

일중독 (한국노동패널조사)

★ 한국노동패널조사 제 17차 조사(2014년)에서는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대표성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일중독" 관련 문항을 조사함.
출처: 이규용 외(2015). 제17차(2014)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 일중독 개념 

연구자 개념
Oates(1971) -일중독이 알코올 중독과 성격이 매우 흡사 
-일중독자는 끊임없이 일하려는 내적충동과 과도하게 일에 집착하는 습성으로  건강, 대인관계, 행복감과 일상생활을 영위하기에 심각한 장애를 안고 있는 사람
※일중독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
Spence & Robbins(1992): 

 -일중독상태: 일물입이 높고 일충동이 높으며, 일을 즐기는 정도는 낮은 상태 
   ①일강박(inner drive to work): 내적 강제 차원으로, 자신의 의지로는 내적통제가 불가능한 상태를 지칭하며, 일에 대한 집착이나 과도하게 일하려는  내적 욕구나 동기, 일에 대한 통제할 수 없는 욕구 등으로 표현됨. 일하지 않는 시간에도 지속적으로 일을 생각하고, 일을 하지 않으면 죄책감을 느끼는 것을 말함. 
   ②일향유(enjoyment of work): 일하는 것에 만족하고 행복과 즐거움을 느끼는 것을 의미함. 
   ③일몰입(work involvement): 일중독의 가장 중요한 차원으로, 실제 일에 과도하게 몰두하는 것을 의미함. 오랜 시간 동안 일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단순히 일하는 시간이 길다고 일중독자로 보지는 않으며 삶과 일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비업무적 활동에 시간을  할애할 필요성을 못 느끼거나 여가나 취미활동을 포기하면서 일에만 몰두하는 특징을 가진 사람
※일중독을 다차원 개념으로 정교화

Scott et al (1997) 

-일중독을 강박적, 완벽주의적, 성취지향적 일중독으로 유형화
-일중독은 첫째, 일을 하기 위해 자신의 중요한 사회적, 가정적 혹은 여가활동을 포기하고 일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  둘째, 일하지 않을 때도 지속적으로 일에 관하 여 생각하는 것, 셋째, 생활에 필요한 소득활동이나 할당된 직무 범위를 초과하여 일하는 것으로 정의 

Griffiths(2006) -행위중독과 건강한 열정 간의 차이는 정상적인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지 방해가 되는지에 따라 판단
Bonebright et al.(2000) -열정적인 일중독자와 비열정적인 일중독자 구별 
Schaufeli et al.(2008) -일중독, 소진, 직무열의가 서로 구분되는 개념으로 판단 
Malinowska & Tokarz(2014) - 삶, 자기실현, 현재 상황에 대한 만족도 등 삶의 질에 대한 평가에 근거하여 
  기능적 일중독(functional)과 비기능적(dysfunctional) 일중독으로 구분 
강수돌(2002) -과도성취형, 노동강제형, 햄릿형으로 구분 
이규용 외(2015) 

-일이 곧 자아의 중심이며 일 이외의 다른 삶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상태,  일이 없어 지면 자신의 삶도 끝난다고 느끼는 특성을 지칭

 

 

■ 측정도구: Aziz et al.(2013)의 일중독 문항 사용 

 

영역 문항
  (13) 나 자신이 일에 중독된 느낌이다
일가정갈등

(24) 일 때문에 개인적인 생활이 종종 방해를 받는 것 같다   
(25) 직장 일 때문에 개인적으로 해야할 일을 미루는 경우가 자주 있다
(26) 직장 일 때문에 중요한 개인적인 일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자주 있다
(27) 내 스스로 휴가 일정을 짜는 것이 어렵다
(28) 친구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
(29) 부부관계나 친밀한 이성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
(6) 일 때문에 항상 너무 피곤해서 일 이외에 다른 활동을 하기 어렵다

완벽주의

(18) 나는 때때로 업무목표나 업무성과에 집착한다
(19) 일이 끝나기 전에 일이 잘 되었는지 자주 확인한다
(20) 다른 사람에게 내가 한 일을 점검해 달라고 종종 요청한다
(21) 나는 내 일에 대하여 자주 초조하고 불안해진다
(22) 일이 완벽해야 하기 때문에 끝내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일중독

(8) 나는 주당 60시간 이상이라도 장시간 근무를 하는 것을 선호한다
(11) 나는 저녁이나 주말에 근무하는것을 즐기는 편이다
(14) 업무에 대한 생각 때문에 다른 활동을 해도 재미가 없다

불편함

(15) 나는 나 자신이 매우 공격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6) 종종 다른 사람에게 짜증을 낸다
(17) 사람들은 내가 조급하고 언제나서두르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23) 나는 가족이나 친구와의 관계에서갈등이 많다
(12) 일 때문에 잠을 잘 못 자는 불면증이 자주 있다

금단증상

(2) 업무를 안 하고 있을 때는 죄책감을 느낀다
(3) 업무를 안 하고 있을 때는 조바심이 난다
(4) 업무를 안 하면 지루하고 안절부절한 느낌이 든다
(5) 업무에 대한 생각이 가득 차서 집에서도 편하게 쉬지 못한다
(7) 항상 일에 대한 생각만 한다
(1) 업무와 관련한 스트레스를 아주 많이 받는다

통제

(9) 내 업무는 내 스스로 통제하고 싶다
(10) 나는 다른 사람의 업무를 관리,감독하고 싶다

 

■ 일중독자 구분

 -일중독을 높고 낮음의 증상으로 다루기보다는 일중독자와 그렇지 않은자로 구분

 -일중독1: 일중 독 조사항목들 가운데 ‘나 자신이 일에 중독된 느낌이다’에 ‘그렇다’나 ‘매우 그렇다’로 응답한 자

 -일중독2: 일중독 27개 항목의 총점을 문항수(27)로 나눈값이 3을 초과하는 사람 

              ※변별도 & 타당도 검사에서 적합도가 낮은 문항 2개 제외한 후의 문항수 

 

 

■ 일상시간 사용 적정성 

 1) 일 또는 소득활동을 위한 시간 
 2) 배우자 또는 자녀와 보내는 시간
 3) 따로 사는 가족과의 연락 혹은 만남을 위한 시간
 4) 가족 이외 사람들과의 연락 혹은 만남을 위한 시간
 5) 개인적 관심/취미를 위한 시간
 6) 봉사 또는 사회/정치 활동 참여 시간
5점척도
(부족하다, 적절하다, 지나치다, 해당없음, 모르겠음, 모름/무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