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양정애, 최숙, 김경보(2015). 뉴스리터러시교육I: 커리큘럼 및 지원체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서 2015-01.
■ 미디어리터러시
-여러 형태의 미디어를 소비하고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인지적 능력과 적극적 태도를 배양하는데 관심을 둠
-(Tyner, 2014)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이용해 기존의 읽기와 쓰기 능력의 확장시키는 개념으로, 미디어를 이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인지능력의 확장에 중점을 둠
-(Robert McCormick Foundation & 미디어리터러시교육연합) 메시지를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이해하며, 나아가 생산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
-(Aufderheide, 1993) 시민들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을 넘어,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
-(Hobbs, 2010) 정보 홍수, 미디어 포화 시대를 살아가면서 시민으로서 적극적으로 사회적 삶에 참여하기 위한 다양한 생활 기술들(책임감있는 선택, 다양한 메시지의 분석, 다양한 콘텐츠의 생산, 타인의 행동에 대한 숙고, 사회적인 활동 등)의 집합
■ 디지털리터러시
-초기에는 소프트웨어를 운용하고 디지털 디바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중심을 둠
-‘디지털 기기에 둘러싸인 디지털 환경에서 살아가는 인간’을 중심으로 기기와 인터랙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복잡한 인지, 운동성, 사회성, 감정 기능 등을 포괄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 발전
-디지털 공간에서 접하는 다양한 정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도 포함
-디지털리터러시에는 시각리터러시, 재생산리터러시, 정보리터러시 등 포함(Eshet-Alkalai, 2004)
■ 정보리터러시
-도서관학·문헌정보학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흔히 정보를 찾고, 분석하고, 저장된 정보를 꺼내 오고, 이를 이용하는 일련의 기능들(set of skills)로 구성됨
-최근 특정 정보자원이나 기술에 집중하기보다는 정보 이용과 관련된 비판적 사고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
■ 뉴스리터러시
-뉴스(news)와 리터러시(literacy)의 합성어로, 뉴스에 관련된 읽기, 쓰기 및 표현 능력
-미디어리터러시의 하위개념으로 출발
-뉴스가 생성, 배포되는 과정과 관련된 영역들, 즉 저널리즘, 시민성, 수용자의 역할 등에 관심을 두고 있음.
-시민들이 뉴스 미디어에 담긴 진실, 정보, 의견을 구분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과 기술을 훈련하는 과정에 관심을 둠
-뉴스리터러시에 대한 정의에 ■뉴스 메시지에 접근하고(access) 이를 이해(understand), 분석(analyze) 및 평가(evaluate)하는 능력■ 이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음.
'arti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조절학습과 관련된 6가지 모형 분석 (0) | 2020.09.15 |
---|---|
소셜 미디어에 연애 포스팅: 관계보호 동기 (0) | 2020.06.10 |
뉴스와 가짜뉴스의 범위 (0) | 2020.05.29 |
(초록) My True Self is Better Than Yours: Comparative Bias in True Self Judgments (0) | 2020.05.27 |
사회서비스 이용체계 실태조사 연구 (0) | 2020.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