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icle

Washback effect

출처: 안소영(2019). 학습 포트폴리오의 파급효과 연구. 사회언어학, 27(1), 123-151. 

 

 Washback effect  

좁은 의미에서 평가체제가 교수학습에 끼치는 영향

넓은 의미에서 평가체제가 사회, 정치, 문화적 맥락에 끼치는 영향 

 

예) Shohamy(1992, 1933: 안소영, 2019에서 재인용)

신뢰성 높은 표준화시험이 학습자들의 영어말하기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오히여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문제풀이 위주의 수업 시행 경향이 나타남 

 

시험은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에게 파급효과를 미침 

 -학습자들의 태도, 행동, 학습동기,

 -교수자들의 교수, 목표, 방법, 교육과정, 

 -학부모들의 교육철학 등 

 

평가는 교실 현장에서 영향력이 없을 수도 있고,

훌륭하다고 생각했던 평가방법이 부정적으로,

나쁜 시험이라고 생각했던 평가방법이 긍정적으로,

혹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Alderson & Wall 1993).

 

시험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는 수업을 이끌어가는 교수자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반재천 외 2018; 진경애 외 2018; Bailey 1999),

최근에는 표준화 시험의 영향력, 시험과 학습결과와의 관계, 평가방법과 영어 학습 동기와의 관계, 대체평가, 교실기반 평가에 관한 연구 등으로 연구의 외연이 확장되고 있다

 

 

Washback effect의 한글표현 

 -파급효과 (안소영, 2019) 

 -세환효과 (고명희, 2014) 고명희(2014). 어휘 시험 유형과 세환효과

 -역류효과 (신재철, 2013) 신재철(2013). 초등영어교육을 위한 평가 방법에 관한 고찰 

 -환류효과 (이영주, 2018) 이영주(2018). 대학 영작문 수업에서 EBB 평가척도의 환류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