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8)
학업적 꾸물거림(academic procrastination) 척도 출처: 최윤정, 김성회(2008). 초등학교 고학년용 학업적 꾸물거림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9(1), 201-221 academic procrastination 학업지연 /학업적 꾸물거림 /지연행동 /미룸 / 만성적, 습관적 지연 *꾸물거림의 영향 - 학업에 부정적 영향 (Rothblum, Solomon, & Murakami, 1986) - 마감일이 임박해짐에 따라 숙제 제출 비율 증가(Howell, Watson, Powell, & Buro, 2006) *꾸물거림에 대항할 수 있는 힘 높은 자아존중감, 보다 강한 동기, 보다 나은 의사결정 기술 *꾸물거림의 정의 -Schouwenburg(2004) 연기는 의도적, 계획적, 현명할 수도 있음. 의도적으로 계획되지 않은 연기를 '지연행동'으로 정의 -지연..
2019 초중등 진로교육현황 조사 결과 진로교육법에 근거하여 학교급별 진로교육 전반에 대한 현황 조사 1) 조사시작: 2007년 2) 조사시기: 매년 6~7월 3) 조사근거: 진로교육법 & 통계법 4) 조사대상: 초중고 학생, 학부모, 교원(학교관리자, 진로전담교사, 담임교사) 5) 조사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조사방식: 온라인 희망직업 1위 2위 3위 초 운동선수 교사 크리에이터 중 교사 의사 경찰관 고 교사 경찰관 간호사 부모와 진로에 대한 대화 정도 중학생에서 가장 많아 초 중 고 주 2~3회(23.8%) 거의 매일(27.7%) 주 1회(24.8%) 희망직업을 알게 된 경로 -희망직업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기준으로 부모 - 대충매체 - 웹사이트 순 초 중 고 부모 36.0% 38.7% 32.8% 대중매체/TV 32.1% 36.6% ..
요구도분석 조사는 분석항목(교사의 직무역량,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 등)에 대하여 ①현재수준 - 중요수준 ,②현재수준 - 필요수준으로 조사 실시 (예시) Q.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다음 역량에 대하여 현재 수준과 필요수준에 대하여.... 현재수준 필요수준 매우낮다 낮다 보통 높다 매우높다 전혀필요없음 필요없음 보통 필요 매우필요 1) 의사소통역량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 13) 비판적 사고 *대응표본 t검정 -현재수준(사전)과 필요수준(사후)에 대하여 대응표본 t검정 실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유의확률이 유의하면(p
PISA 2018 결과 *2019년 12월 3일 PISA 2018 결과 발표 PISA는 OECD에서 실시하는 국제 학업성취도(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이며, PISA 2018에는 전 세계 총 79개국(OECD 회원국 37개국, 비회원국 42개국) 참여 참여국가 수 참여 학생 수 대상 시험 교과 총 72개국 약 71만명 만 15세 읽기, 수학, 과학 *한국 참여 현황 학교 수 학생 수 188개교(중 34개교, 고 154개교, 각종학교 2개교) 6,876명 (중 917명, 고 5,881명, 각종학교 78명) *PISA 2018 결과 (출처: 교육부 보도자료(2019.12.04).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PISA 2018) 결과 발표) 한국 점수(순위) 읽기 수..
자기조절학습 단계 및 영역(Pintrich, 2000) 출처: Pintrich(2000).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협력적 자기조절(co-regulation) Hadwin & Oshige(2011). Self-regulation, coregulation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 exploring perspectives of social in self-regulated learning theroy. Background/Context: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SRL) have increasingly acknowledged aspects of social context influence in its process; however, great diversity exists in the theoretical positioning of “social” in these models. Purpose/Ob..
피드백행동에서 문화적 차이의 영향 Chydenius & Gaisch(2014). The impact of cross-cultural differences on feedback behavior: a comparative study in a technological setting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is an essential part of a learning cycle for any learning organization in general, and its students in particular. As human communication is highly influenced by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and to which ext..
고등교육에서 피드백추구 Leenknecht et al(2019). Feedback seeking behaviour in higher educaion: the association with students' goal orientation and deep learning approach.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44(7), 1069-1078. To make sure that feedback fulfils its aspirations, students’ active role in feedback should be acknowledged in higher education: It is students’ uptake of feedback that determines its e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