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적 꾸물거림(academic procrastination) 척도
출처: 최윤정, 김성회(2008). 초등학교 고학년용 학업적 꾸물거림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9(1), 201-221 academic procrastination 학업지연 /학업적 꾸물거림 /지연행동 /미룸 / 만성적, 습관적 지연 *꾸물거림의 영향 - 학업에 부정적 영향 (Rothblum, Solomon, & Murakami, 1986) - 마감일이 임박해짐에 따라 숙제 제출 비율 증가(Howell, Watson, Powell, & Buro, 2006) *꾸물거림에 대항할 수 있는 힘 높은 자아존중감, 보다 강한 동기, 보다 나은 의사결정 기술 *꾸물거림의 정의 -Schouwenburg(2004) 연기는 의도적, 계획적, 현명할 수도 있음. 의도적으로 계획되지 않은 연기를 '지연행동'으로 정의 -지연..
PISA 2018 결과
*2019년 12월 3일 PISA 2018 결과 발표 PISA는 OECD에서 실시하는 국제 학업성취도(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이며, PISA 2018에는 전 세계 총 79개국(OECD 회원국 37개국, 비회원국 42개국) 참여 참여국가 수 참여 학생 수 대상 시험 교과 총 72개국 약 71만명 만 15세 읽기, 수학, 과학 *한국 참여 현황 학교 수 학생 수 188개교(중 34개교, 고 154개교, 각종학교 2개교) 6,876명 (중 917명, 고 5,881명, 각종학교 78명) *PISA 2018 결과 (출처: 교육부 보도자료(2019.12.04).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PISA 2018) 결과 발표) 한국 점수(순위) 읽기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