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0)
자기조절학습과 관련된 6가지 모형 분석 Panadero(2017). A review of self-regulated learning: six models and four directions for research. Front. Psychol., 28 April 2017 | https://doi.org/10.3389/fpsyg.2017.00422 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syg.2017.00422/full A Review of Self-regulated Learning: Six Models and Four Directions for Research Self-regulated learning (SRL) includes the cognitive, metacognitive, behavioral, motiv..
통계 비디오 (statquest) StatQuest ■ 통계 기초, 통계적 검증, 머신러닝 등에 대해 설명하는 비디오 제작하여 공개 https://statquest.org/video-index/ Video Index - StatQuest!!! This page contains links to individual videos on Statistics, Statistical Tests, Machine Learning and Live Streams, organized, roughly, by category. Generally speaking, the videos are organized from basic concepts to complicated concepts, so, in theory, you statquest.org ■ 주요 비디오 목..
소셜 미디어에 연애 포스팅: 관계보호 동기 1) Krueger, K. L., & Forest, A. L. (2020). Communicating Commitment: A Relationship-Protection Account of Dyadic Displays on Social Media.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6(7), 1059–1073. https://doi.org/10.1177/0146167219893998 People often make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visible to others through dyadic displays (DDs). Yet, their reasons for doing so are not well-understood. We ..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조사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 https://www.kpf.or.kr/front/mediaStats/mediaStatsDetail.do ■ 조사개요 구분 내용 개요 태생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테크놀로지에 이숙한 이른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인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6년 시작된 조사로, 10대 대상의 미디어 이용조사 중 국내 최초로 과학적 표집 방법을 사용한 전국 규모 조사 목적 향후 뉴스 미디어의 핵심이용자가 될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조사/분석하여 미디어 산업의 장기적인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한편, 청소년의 시민 역량을 강화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음. 조사내용 매체별/플랫폼별 중요도, 인터넷 이용 행태, 인터넷포털 이용 행태, 매체별 이용 ..
뉴스 리터러시 출처: 양정애, 최숙, 김경보(2015). 뉴스리터러시교육I: 커리큘럼 및 지원체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서 2015-01. ■ 미디어리터러시 -여러 형태의 미디어를 소비하고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인지적 능력과 적극적 태도를 배양하는데 관심을 둠 -(Tyner, 2014)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이용해 기존의 읽기와 쓰기 능력의 확장시키는 개념으로, 미디어를 이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인지능력의 확장에 중점을 둠 -(Robert McCormick Foundation & 미디어리터러시교육연합) 메시지를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이해하며, 나아가 생산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 -(Aufderheide, 1993) 시민들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정보에 접근하..
뉴스와 가짜뉴스의 범위 출처: 양정애 (2019.05.25). 일반 시민들이 생각하는 ‘뉴스’와 ‘가짜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이슈, 5(1), https://www.kpf.or.kr/front/research/issueDetail.do ■ 조사목적: 일반 시민이 갖고 있는 뉴스와 가짜뉴스에 대한 범위 및 기준 확인 - 뉴스와 유사한 시사적 정보 콘텐츠의 증가, 각종 생활정보를 다룬 언론보도의 비중 증가, 생산자의 다양화 등 급격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사람들이 인식하는 뉴스의 범위와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음. 이에 사람들이 인식하는 뉴스의 범위 및 기준 확인 필요 - 가짜뉴스 용어가 자주 사용됨에 따라 무엇을 가짜뉴스라고 생각하는지 범위와 기준 확인 필요 ■ 조사개요: (대상) 성인남녀 1,200명, (방법) 온라..
(초록) My True Self is Better Than Yours: Comparative Bias in True Self Judgments Zhang, Y., & Alicke, M. (2020). My True Self is Better Than Yours: Comparative Bias in True Self Judgmen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https://doi.org/10.1177/0146167220919213 Abstract Researchers have assumed that people judge their own true selves, or their authentic and fundamental nature, to be no better than that of others. This assumption conflicts with self-enhancement pe..
사회서비스 이용체계 실태조사 연구 출처: 강혜규 외(2019). 사회서비스 이용체계 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9-26. ■ 연구내용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서비스 중 복지/보건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 이용 체계 및 이용 과정을 분석, 진단함. 구분 세부과업 분석자료 및 방법 사회서비스 이용 체계 분석/진단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주요 현황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접근성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기능/역할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간 교류/연계 지자체의 복지증진 노력 인식 및 평가 행정데이터 활용 문헌분석 통계분석 FGI 정성분석 사회서비스 이용 과정 분석/진단 수요자의 사회서비스 이용과정의 문제점 FGI, 사례분석 ■ 실태조사 개요 조사목적 실태조사의 목적은 공공과 민간 부문 사회서비스의 구조 및 체계, 이용과정에서..